여행이바구
어머니 집에 어떻게 가지요?
세팔
2007. 3. 3. 23:13
대구 집에 왔다.
여전히 오면, 밥먹고 혼자서 시내돌아댕기고. 영화볼 꺼 있으면 영화보고 책이나 CD (요즘은 문구까지?) 살것 있으면 좀 사고 그런다.
이번달은.. 이사가 있는 바람에 돈이 없어 한국에 와서도 엄청 짜게 살아야 한다. 그래도 몇권책을 사고, 장한나 씨디하나 샀다.
그러기 위해.. 여전한 대구 시내를 돌아다닌다.
서울 여행이야기 나와서 오고 갔던 곳은
한국의 집의 공연, 창덕궁의 설명, 박물관의 설명을 보면서.. 내가 얼마나 우리나라 문화에 대해 문외한인지 다시 알았다. 그저 판소리나 시나위합창을 들으면서 가슴뭉클하다는 정도에서 정체성을 확인한 정도.
대구는 여전히 동성로 방랑이 나의 즐기는 법이다. 반월당에서 내려서 나의 청춘(?)에 있어 중요했던 대구학원이 가보고 싶어 가보았더니..
교실에 꽉꽉찼었던 학생들 만큼이나 내 고등학교시절이 팍팍 찼었던 곳이었는데.
시내를 마구 돌아댕겼다.
물론 지금은 '여기 내가 있어도 되나 싶은. '얼라'들의 시내'를 보고 위화감이나 느끼고 있다.
혼자서 빵집에 가서 음료수하나와 빵하나를 먹으며 머리를 식히고.
교보의 핫트랙에 가서 문구나 몇개 살까 했는데..
정말 놀랐다. mmmg로 대표되는 한국 팬시문구의 발달이란. 게다가 거기에 달려붙는 수많은 사람들이란.
교보문고, 별다방, 각종 브랜드의 옷들, 길가에서까지 파는 휴대폰들.
물론 더 걱정인 건 나지만.. 결국 집에 어떻게 갔었지 하고 집에 걸어 집에 가는 법을 물어봐야 하고 마는 나니깐.